본문 바로가기

2025 종합소득세 신고 처음이세요? 혼자서도 쉽게 가능합니다(홈택스 초보 자영업자 가이드)

BinE School 2025. 4. 17.

종합소득세 신고 처음이라 고뇌하는 자영업자 사진, 대표이미지
종합소득세 신고, 이것만 따라하세요

 

5월이 다가오면 종합소득세 신고 시즌이죠. 처음엔 복잡해 보이고 머리가 아프지만, 미리 공부하고 준비만 잘하면 어렵지 않아요. 이 글은 세무 초보 자영업자 분들을 위해 준비했어요. 프리랜서로 활동 중인 개인사업자도 포함됩니다! 홈택스에서 셀프 신고를 목표로 단계별로 따라 하기 쉽게 정리해봤습니다. 

👉 누구를 위한 글인가요?

  • 2024년 사업자등록 후 첫 신고를 앞둔 자영업자 및 프리랜서
  • 세금 신고가 처음이라 하나도 모르는 세무 초보
  • 세무사 도움 없이 홈택스로 셀프 신고하려는 분

 

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 기준

자영업자는 개인사업자로, 가게 운영(카페, 식당 등), 서비스 제공(프리랜서 활동 포함), 온라인 판매 등으로 소득을 얻는 분이에요. 사업자등록을 했거나 소득이 있다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에요!

  • 기준: 사업자등록 여부와 상관없이 2024년 사업소득(매출, 프리랜서 수익 등)이 있다면 신고 대상.
  • 범위: 가게 매출, 온라인 쇼핑몰 수익, 프리랜서 활동(포스타입, 크레페 등)으로 번 돈 모두 포함.
  • 확인법: 2024년 소득이 있다면 홈택스에서 ‘소득자료 조회’로 확인. 연간 소득 2,400만 원 이하면 면제될 수 있으니 세무서(☎ 120) 문의!
구분 내용
신고 대상 2024년 사업소득 발생한 자영업자 및 프리랜서
신고 기간 2025년 5월 1일 ~ 5월 31일
납부 기한 2025년 5월 31일까지
신고 방법 국세청 홈택스(PC)

💡 수입이 없더라도 신고는 반드시 해야 합니다!

 

 

홈택스 접속 & 로그인

  1. 홈택스 접속
  2. 오른쪽 상단 [로그인] 클릭 →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중 편하신 방법으로 로그인 진행 (저는 간편 인증으로 진행해볼게요)
  3. 간편인증을 누르면 민간 인증서 여러 종류가 나오는데 카카오톡이나 네이버 인증이 편합니다.

홈택스 메인 화면에서 로그인 눌렀을 때의 화면 캡쳐 이미지

 

간편인증 눌렀을 경우 보이는 화면 캡쳐 이미지
간편인증 눌렀을 경우 보이는 화면 캡쳐 이미지

 

  1. 로그인 하면 보이는 화면 아래 이미지 확인하세요, 상단 [세금신고] → 왼쪽 [종합소득세 신고]
  2. 중앙 [종합소득세 신고(모두채움)] 선택
  3. [모두채움 신고 / 단순경비율 신고] → [정기신고] 클릭

로그인-후-메뉴-선택하는-과정-캡쳐-이미지
세금신고>종합소득세 신고>모두채움 메뉴 선택 방법 화면 캡쳐 이미지
모두채움/단순경비율 신고 클릭
정기신고 클릭하는 화면 캡쳐 이미지
정기신고 클릭

 

 

 

기본정보 입력

자, 여기까지 오셨으면 반은 했습니다!! 너무 잘 하셨어요. 정기 신고 부분을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은 정보 입력 화면이 나옵니다. 다 채워주세요.

  • 개인/단체: 개인
  • 귀속연도: 2024년
  • 주민번호 입력 후 [조회]
  • 주소, 연락처 입력 → [저장 후 다음 이동]

⚠️ 5월 이전에는 주민 번호 입력 후 [조회]를 누루면 “정기신고 기간이 아닙니다”라는 경고창이 뜹니다. 이는 정상이며, 5월 1일부터 정식 입력 가능해요.

기본정보 입력하는 화면 캡쳐 이미지
기본 정보 입력하는 화면

 

 

 

수입금액 입력 & 계산하기

이제 소득을 입력하고 세금을 계산해볼게요. 홈택스가 편리하게 자동으로 불러와주는 기능이 있지만, 꼼꼼히 확인해야 해요!

  • 홈택스가 자동으로 불러온 카드·현금영수증·계좌입금 등의 매출 확인.
  • 누락된 내역(예: 현금 매출, 프리랜서 수익)은 직접 추가 입력.
  • 수입금액 입력 완료 후 [다음] 클릭.

💡 자동 불러오기 기능만 믿지 말고, 실제 매출 누락 확인 필수!

예시: 2024년 가게 매출 3,000만 원, 온라인 판매 500만 원 벌었다면, 총 3,500만 원 입력!

 

 

 

경비 확인 & 절세 팁: 단순 경비율과 소득공제 활용

이제 경비를 입력하고 세금을 줄이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단순 경비율과 소득공제를 잘 활용하면 절세 효과를 볼 수 있어요!

  • 단순 경비율:
    • 영수증 없이도 소득의 일정 비율을 경비로 인정받는 제도. 자영업자(개인사업자) 대상.
    • 비율: 2025년 기준, 소규모 음식점은 70%, 온라인 판매는 80% (예: 음식점 매출 3,000만 원이면 2,100만 원 경비 인정 → 과세소득 900만 원!)
    • 장점: 영수증 모으는 수고 덜고 간편 신고 가능.
    • 주의: 단순 경비율 적용하면 실제 지출 경비 공제 불가. 실제 경비가 더 크다면 따로 계산하는 게 유리.
  • 소득공제:
    • 과세소득에서 추가로 공제해주는 금액으로 세금 줄이기.
    • 공제 항목:
      • 필요경비: 노란우산, 가게 임대료, 재료비, 전기세, 경조사비, 교통비, 통신비, 직원 급여, 프리랜서 활동 비용(예: 디자인 장비) 등. 영수증 보관 5년 필수!
      • 세액공제: 의료비(자신과 가족, 연 300만 원 한도), 기부금(정치자금 제외), 창업 초기 경비(2025년 상향 가능).
    • 예시: 3,500만 원 소득, 1,500만 원 실제 경비, 의료비 200만 원 공제 → 과세소득 1,800만 원!
 

노란우산공제 완벽 정리- 혜택, 가입/해지방법, 대출 이자

종합소득세 신고 시간이 다가오면 부랴부랴 비용처리나 공제받을 항목들 뭐 있나 알아보시죠? 이때 '소득공제' 항목 중 노란우산공제라는 단어를 자주 보셨을 텐데요. 절세 혜택과 노후 대비라

qlsl85.tistory.com

 

[종소세신고]놓치기 쉬운 비용처리 7가지- 경조사비, 차량비, 통신비 등 절세 방법

어김없이 올해도 5월이 찾아왔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이 다가와 마음이 무거워지시나요? 매출 관리도 중요하지만, 자영업자에게 세금 관리는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특히, 어떻게

qlsl85.tistory.com

  • 단순 경비율 대상자라면 경비는 자동 계산됩니다.
  • 계산된 과세표준과 예상세액 확인.

💡 3.3% 원천징수와 환급: 프리랜서 활동(포스타입 등)으로 번 돈은 3.3% 원천징수돼요. 1,000만 원 벌면 33만 원 떼임. 경비와 공제 잘 활용하면 환급 가능!

 

 

 

세액 확인 & 신고서 제출

  • 총 수입 → 과세표준 → 세율 적용 후 세액 확인. 과세표준별 세율은 아래 표 참고!
  • 내용 이상 없으면 [신고서 제출] 클릭.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액
1,200만 원 이하 6% 없음
4,600만 원 이하 15% 72만 원
8,800만 원 이하 24% 522만 원

💡 예시: 과세소득 1,800만 원 → 15% 적용, 72만 원 공제 → 세금 약 198만 원.

💡 이 단계에서 '임시저장'도 가능해요. 잠깐 멈췄다가 이어서 가능!

 

 

 

세금 납부 & 실수 줄이기

  • 신고 완료 후 바로 납부 가능: 계좌이체, 카드, 가상계좌, 편의점 납부 가능.
  • 납부기한: 2025년 5월 31일(성실신고확인 대상자는 6월 30일 연장 가능).
  • 주의: 기한 놓치면 최대 20% 가산세, 일일 0.022% 지연 가산세 부과. 매출 누락, 경비 과다 공제 주의!
  • 신고 및 납부 완료했고 5/31 이후에 비용처리 누락된 사실을 알게 되면 "경정 청구"로 추가 환급 가능!
 

경정청구 신청기한, 홈택스 신청방법 완벽 정리 (종합소득세, 더 낸 세금 돌려 받기)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이 지나고 나서 뒤늦게 놓친 공제 항목을 발견했거나, 계산 실수를 알아차린 경험, 다들 한 번씩 있으시죠? 포기하지 마세요. 우리에게는 '경정청구'라는 제도가 있습니

qlsl85.tistory.com

 

 

 

자주 묻는 질문

Q. 단순 경비율 대상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홈택스가 자동 분류해줍니다. ‘모두채움 신고’에서 확인 가능.

 

Q. 세무사 없이 혼자 해도 괜찮을까요?
→ 소득 1억 원 이하, 단순 경비율 대상자라면 혼자도 충분해요. 자료만 잘 챙기세요!

 

Q. 작년 말에 사업 시작했는데도 신고해야 하나요?
→ 네, 수입과 무관하게 신고는 의무예요.

 

Q. 2025년 세법 변경된 점은?
→ 창업 초기 경비 공제 한도 상향(예: 300만 원→500만 원 예상) 가능성. 국세청 공지 확인!

 

 

종합소득세 신고는 처음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어요. 하지만 단계별로 따라가면 세무사 없이도 홈택스에서 직접 해낼 수 있습니다. 단순 경비율과 소득공제를 잘 활용해서 세금 부담 줄이고, 환급도 노려보세요!

댓글